찾아주셔서서 감사합니다! - -) _ _)

월평균 소득 조회 방법 근로자 프리랜서 자영업자 개인사업자 주택청약 임대주택 기준소득확인 알아봅시다

월평균 소득을 확인하는 것은 주택청약이나 각종 지원금 신청 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특히, 소득 기준이 '100% 이하', '120% 이하'와 같이 제시되는 경우, 자신의 소득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월평균 소득 조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청약 자격이나 임대주택 입주 자격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만 19세 이상 성인의 세전 소득만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조회 방법은 직장인, 자영업자 등 다양한 직군에 따라 다르며, 아래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직장인은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직장보험료 조회를 통해 월평균소득을 알 수 있습니다.
    1. 국세청 홈택스에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1. 자영업자 등은 홈택스에서 소득금액증명서를 발급받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직장가입자가 아닌 경우, 전년도 종합소득세 신고자용 소득금액증명 원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등을 통해 월평균소득을 산정합니다.
      3. 직장보험료 조회 및 소득금액증명서 발급 방법
      • 건강보험공단 월평균소득 발급 방법은 로그인 후 '민원 여기요' → '개인 민원' → '보험료 조회/산정' → '직장보험료 조회' → '평균보수월액' 순으로 진행합니다.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과 소득금액증명서는 홈택스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로그인 후 적절한 메뉴를 선택하여 진행합니다.2023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 특별공급(다자녀 가구, 노부모 부양)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20% 이하
          • 생애최초 우선공급은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00% 이하
          • 신혼부부 우선공급은 배우자 소득 없는 경우 100% 이하, 있는 경우 120% 이하
          • 일반공급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00% 이하월평균 소득 조회와 계산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 주택청약이나 각종 지원금 신청 시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됩니다. 본 글이 그 과정에서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가구별 월평균 소득 기준은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8인가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 계산이 필요합니다.
        • 2023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정보는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매년 3~4월에 업데이트되며, 청약 시 적용되는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서 바로가기

건강보험공단 월평균소득 발급 방법 바로가기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바로가기

 

🌸공감과 공유는 큰 힘이 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더 많은 정보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