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셔서서 감사합니다! - -) _ _)

지방쓰는법 제사지방 설날 제사 추석 알아봅시다

제사, 설날, 그리고 추석에 필요한 지방 작성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1. 지방 규격

 

지방 크기 : 가로 6cm, 세로 22cm

용지 : 한지 또는 창호지, 혹은 A4 용지. 최근에는 A4용지에 직접 적거나 프린터로 출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치 : 지방은 조상의 성별에 따라 배치합니다. 조상님이 남성인 경우에는 오른쪽에, 여성인 경우에는 왼쪽에 배치합니다.

2. 제사, 설날, 추석에 필요한 지방 작성 방법

지방에 적는 내용은 조상의 지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벼슬이나 직위를 가진 조상님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부모님의 경우

  • 부(아버지) : 현고학생부군신위
    • "현고"는 제사를 지내는 자와 조상의 관계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경우 "현고"만 기재합니다.
    • "학생"은 조상님의 지위를 의미하며, 예전에는 관직을 적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벼슬이 없으므로 "학생"으로 적습니다.
    • "부군"은 남편을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 "신위"는 조상님을 모시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성시 주의 사항

  • 특수문자와 문단 나누기는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지방을 작성할 때는 원문의 내용을 줄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방 양식 첨부

  • 해당 부분은 직접 제공이 불가능합니다. 제공해줄 수 있는 양식이나 틀을 찾아 사용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제사, 설날, 추석 때 작성하는 지방에 대한 추가 정보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지방 작성 방법

모(어머님): 현비유인본관성씨신위

  • "현비"는 제사를 지내는 자와 조상의 관계를 표현하며, 이때 어머니를 지칭합니다.
  • "유인"은 여성이나 부인을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과거에는 여성이 직위를 가지지 않았으므로 주로 사용됩니다.
  • 본관과 성씨를 기재합니다.
  • "신위"는 조상님을 모신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등의 지방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름과 관계에 따른 표현

  • 남편: 현벽
  • 아내: 망실
  • 형: 현형
  • 동생: 망제

3. 작성 시 주의사항

지방을 보관해서 재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방을 보관한다는 것은 조상님의 영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우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방 작성은 제사를 모시는 분의 기준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조상님이 한 분인 경우 가운데, 두 분일 경우 남성은 왼쪽, 여성은 오른쪽에 배치합니다.

4. 지방 양식 첨부

지방 작성에 필요한 양식에는 본관을 기재하는 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지방 작성에는 한지나 창호지를 사용하였지만, 현대에는 A4용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방양식다운로드.hwp
0.02MB

오늘은 제사, 설날, 추석 때 사용하는 지방 작성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가족 모임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의미 있는 모임을 가지기 위해 큰 결정을 내리셨을 것입니다. 그런 용기를 내신 만큼 행복이 가득하기를 바라며, 추석 명절이 즐겁고, 안전하게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공감과 공유는 큰 힘이 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더 많은 정보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