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셔서서 감사합니다! - -) _ _)

수족구병 증상 예방 아기 초기증상 알아봅시다

수족구병은 대개 어린 아이들에게 발병하는 질환으로, 특히 여름과 가을에 더 자주 나타납니다.

수족구병 초기 증상

아이들이 수족구병에 감염되면 체온이 살짝 올라가는 것이 흔한 증상이지만, 열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손바닥, 발바닥, 손등, 발등 그리고 입 안에 생기는 물집입니다.

아이가 무슨 이유 없이 울거나 식사를 거부할 경우 수족구병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손과 발뿐만 아니라 입 안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수족구병의 원인

수족구병은 주로 콕사키 A16 바이러스나 엔테로 바이러스 71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많이 발병하는 시기는 여름이고 그 다음으로 가을입니다.

수족구병의 증상

수족구병은 대체로 여름과 가을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이 질병은 입안에 물집, 궤양, 그리고 손과 발에 발진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족구병의 잠복기는 약 4~6일로, 이 시기가 지나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수족구병은 대체로 경미한 질병으로 체온이 살짝 오르는 것이 흔한 증상이지만, 열이 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 안은 붉게 변하고, 혀와 볼 점막, 뒤쪽 인후, 구개, 잇몸, 입술에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집을 확인하기 위해 아이가 식사를 거부하고 까불 때에는 입 안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가 식사를 하지 않으면 탈수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진은 주로 손에 더 많이 나타나며, 보통 3~7mm 정도 크기의 수포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수포는 손바닥이나 발바닥보다는 손등과 발등에 더 자주 발생합니다.

 

엉덩이나 사타구니 부분에 발진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 부위에 생기는 발진은 대체로 물집을 형성하지 않습니다.

물집의 경우 보통 3~4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대략 7일 정도 후면 완전히 병이 나아집니다.

엔테로 바이러스 71에 의한 수족구병은 콕사키 바이러스로 인한 경우보다 더욱 심한 증상을 보이며, 이 때는 무균성 뇌막염, 뇌염, 마비 증상을 동반하는 신경계 질환을 보일 수 있습니다.

 

수포가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을 의심하게 됩니다. 따라서 물집을 발견하거나 아이가 식사를 거부하거나 까불 때는 입 안을 검사해야 합니다.

수족구병의 진단 및 검사

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경우, 뇌척수액, 인후 분비물, 대변 등을 채취하여 바이러스 배양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를 확인하고 진단합니다.

수족구병 치료법

수족구병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7~10일 정도만 있으면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입 안에 병변으로 인해 경구 섭취가 어려워져 탈수 증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대체 요법을 포함한 수액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의 경과와 합병증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으로 인해 특별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약 7일이 지나면 수포성 발진은 자연스럽게 나아집니다. 하지만 합병증은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엔테로 바이러스로 인한 수족구병에서는 발열, 두통, 목의 강직 등을 동반하는 무균성 뇌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의료 기관에 방문해야 합니다. 아주 드문 경우에는 뇌간 뇌척수염, 신경성 폐부종, 출혈, 쇼크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 예방 조치 및 생활 규칙

수족구병을 예방하려면 아기의 기저귀를 갈고 난 후, 혹은 대변으로 오염된 물건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수족구병에 감염된 아이와는 가급적 신체 접촉을 피해야 하며,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발병 초기 몇 일 동안은 집단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병은 코와 목의 분비물, 침, 물집의 내용물,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통해 전파됩니다. 그러므로 환자와 접촉한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공감과 공유는 큰 힘이 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더 많은 정보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