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증이란 불안한 생각이나 상황이 떠오를 때,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 특정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신경정신적 장애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집문을 잠가고 나선 후에도 계속해서 제대로 잠겼는지 확인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것이 그 예입니다. 이런 강박적인 생각이나 행동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해질 때, 강박증으로 진단됩니다.
강박증을 가진 사람들은 대체로 자신의 행동이 문제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행동을 그만두려는 노력은 효과가 미미하게 느껴집니다.
강박증 환자의 가까운 사람들은 이를 곁에서 목격하며 괴로워하지만, 환자 본인이 가장 힘들게 느낍니다. 환자는 스스로 증상을 조절하려고 애쓰지만, 계속해서 불쾌한 생각이 머릿속에 떠오르며, 반복적인 행동을 멈추지 못하는 상황에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강박증 증상
강박증은 대부분 행동적인 측면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타인들은 환자의 증상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환자 자신도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곤란함을 겪습니다. 환자는 특정한 생각이 떠오르면 불안해지고, 그 불안감을 잊으려고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환자는 불안감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아서 특정한 행동을 계속 반복하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인 행동은 특정한 패턴을 이룹니다. 이런 패턴은 의식이라고 불립니다. 대부분의 경우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함께 나타나지만, 둘 중 하나만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강박증의 증상은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환자는 한 가지 증상만 보일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증상을 동시에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오염, 청결 강박 행동
이는 강박증 중에서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더럽다고 느낀 것에 대한 두려움, 걱정, 그리고 그것을 제거하려는 행동을 보입니다. 실제로 더러움이 없는 상태에서도 몸이나 옷이 더러워진 것 같다는 느낌 때문에 세수나 샤워를 반복하거나, 이미 깨끗한 옷을 계속해서 세탁하게 됩니다.
확인 강박 행동
두 번째로 흔한 증상은 의심과 그에 따른 확인 행동입니다. 문이 제대로 잠겼는지, 가스가 꺼졌는지, 수도꼭지가 잠겼는지 등을 계속 확인하고 싶은 충동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특정한 행동 패턴을 만들어서 반복하게 됩니다.
반복 행동
어떤 상황에서도 결정을 내리지 못해 동일한 행동을 계속 반복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옷을 입었다 벗는 행동이나, 물건을 들었다 놓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합니다.
정렬 행동
물건들이 제 자리에 놓여 있지 않으면 심한 불안을 느끼는 증상입니다. 물건의 배치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고 생각하면 불안해지고, 이를 위해 물건을 계속 확인하고 정돈하게 됩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물건이 있을 때 그것들이 대칭적이거나 직각으로 놓여야 한다는 강박적인 생각에 시달립니다. 이런 행동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실제로 중요한 일을 처리하는 데 시간이 부족해집니다.
무분별한 수집 행위
일반적으로 가치가 없는 아이템들을 계속해서 모으고 버리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행위는 방이나 집 전체가 잡동사니, 쓰레기로 가득 찰 수 있습니다.
휴지, 쓰레기, 부스러기 같은 가치 없는 것들도 보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강제적인 생각
특정한 행동을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강박증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한 생각을 계속 반복하는 것도 강박증에 속합니다.
폭력적인 생각이나 성적인 생각이 불안을 유발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예를 들면, 날카로운 물체를 보면 자신이 그 물체로 다른 사람에게 해를 입힐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느낍니다.
그 결과로 다른 사람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거나 생각들을 떨치기 위해 기도를 하거나 숫자 세기, 머릿속으로 특정 단어를 반복하는 등의 정신적 활동을 하는 것도 강박 행동에 해당됩니다.
치료 방법
지금까지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약물치료와 인지 행동 치료가 강박증 치료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정신 분석 치료도 강박증상을 일정부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그 효과는 불확실합니다.
행동치료
환자들은 자신의 강박적인 생각과 관련된 불안을 줄이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런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는 노출 및 반응 저지 기법입니다.
강박증 환자를 불안을 느끼는 상황에 노출시킨 후 그들의 강박 행동을 막아 불안을 줄입니다.
예를 들면, 청결에 집착하는 환자에게 다른 사람이 사용한 화장지를 만지게 합니다.
이를 노출 단계라 합니다.
그 후에는 환자가 일상에서 반복하는 세면 행동 등을 일정 시간동안 하지 못하게 합니다.
이를 반응 저지 단계라 합니다.
처음에는 환자가 매우 불안해하지만, 반복적인 치료를 통해 환자는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에 익숙해지며, 강박 행동을 하지 않아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불안이 줄어듭니다.
한 자극에 대해 환자의 증상이 개선되면, 다음에는 환자가 더욱 꺼려하는 더러운 자극에 노출시키고 반응을 저지하는 것을 반복합니다.
노출 및 반응 저지 기법은 다른 치료와 병행하지 않고 단독 치료로도 큰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환자 자신의 치료 의지가 강해야 하며,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
경미한 강박증 치료에서 인지 행동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심한 강박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약물치료를 진행합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의 약 80- 90%에서 증상이 호전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존 증상에서 30-60% 정도가 줄어들며, 이를 통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약물 치료만으로는 증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며, 행동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강박증 자가진단
Part A
- 더러운 것, 병균, 화학물질 등에 감염될 것이라는 걱정이 크다.
- 물건을 배열하거나 정확한 순서로 나열하는 것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 죽음, 끔찍한 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생각에 고통을 받는다.
- 인정하기 힘든, 종교적이거나 성적인 생각에 시달린다.
- 집에서 화재나 수재가 발생하거나 도둑이 들 것 같은 걱정에 시달린다.
- 차를 운전하면서 교통사고가 발생할 것 같은 걱정이 있다.
- 내가 뭔가 중요한 것을 잊어버릴 것이라는 걱정이 크다.
- 특정한 숫자나 색상이나 단어 등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Part B
- 그런 생각이나 이미지가 자신의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인식한다.
- 그런 생각이나 이미지는 즐겁지 않으며, 실제로 원하는 것이 아니다.
- 그런 생각이나 이미지를 무시하거나 없애려고 시도한다.
- 그런 생각이나 이미지로 인해 고통을 받거나 불안을 느낀다.
Part C
- 특정한 일을 하거나 특정한 생각을 하지 않으면 무슨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불안감이 있다.
- 일상생활에서 불필요한 확인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문을 잠궜는지, 가스를 잠궜는지 등을 반복해서 확인한다.
- 무언가를 정확히, 완벽하게 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낀다.
-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거나 의미 없는 물건을 계속 수집하게 된다.
Part D
- 이러한 생각이나 행동이 일상생활에 방해가 되는가?
- 이러한 생각이나 행동으로 인해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는가? 예를 들어, 하루에 한 시간 이상 소요되는가?
- 이러한 생각이나 행동이 개인의 정상적인 생활을 방해하거나 일상적인 사회활동에 지장을 주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대부분 '예'인 경우, 강박증에 대해 전문가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자가진단은 정확한 진단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인의 상태를 판단하기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46.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