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은 폐에 구멍이 발생하여 공기가 새어 나오면서 발생하는 병으로, 이 과정에서 흉막강에 공기 또는 가스가 쌓이게 됩니다. 흉막강은 흉벽, 횡격막, 종격동을 덮고 있는 벽 측 흉막과, 폐엽 간의 공간을 포함해 폐를 덮는 장착 흉막이 둘러싼 공간을 가리킵니다.
흉막강에는 보통 적은 양의 흉수만 있지만, 기흉은 이 공간에 공기 또는 가스가 존재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공기가 흉막강에 들어오지만 나가지 않을 경우, 종격동과 심장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생기는 긴장성 기흉이라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격동이란 양쪽 폐와 심장 사이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기흉의 진료과는 흉부외과, 호흡기 내과, 소아청소년과에 해당하며, 기흉의 종류, 증상, 치료 방법, 경과 및 합병증, 그리고 생활 가이드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흉의 종류
기흉은 폐에 생긴 구멍으로 인해 공기가 새고, 이 때문에 흉막강 내에 가스나 공기가 쌓이게 되는 질환입니다. 기와 흉이라는 한자어를 조합해 만든 단어로, 흉강 내에 공기가 차서 폐가 축소되고 호흡곤란, 통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기흉은 그 원인에 따라 자연 기흉, 외상성 기흉, 그리고 긴장성 기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자연 기흉: 이는 외상과 관련 없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특히 신장이 큰 청년 남성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자연 기흉은 폐를 둘러싼 흉막 아래에 있는 작은 기포가 터져서 흉강 내로 공기가 새어 나오면서 발생합니다. 자연 기흉 환자 중 약 2~3%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폐결핵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폐렴, 폐농양, 백일해 등의 폐 질환이 있으면 기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상성 기흉: 이는 상해로 인해 발생하는 기흉을 의미합니다. 대체로 갈비뼈가 부러져 인접한 폐를 찌르는 경우에 발생하며, 아주 드물게는 병원에서 진행하는 시술이나 치료 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거나, 아주 드물게는 총상에 의해서도 기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긴장성 기흉: 이는 숨을 들이마실 때마다 공기가 흉강 내로 들어가지만, 숨을 내뱉을 때 공기가 나가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면 기흉이 생긴 쪽의 폐가 완전히 축소되어 반대쪽 폐와 심장에 압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곤란이나 청색증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흉 증상
기흉의 주요 증상은 흉부 통증과 호흡곤란입니다. 이러한 통증은 급작스럽게 발생하며 날카로운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강도가 큰 호흡곤란은 주로 기존에 폐 질환을 앓았던 사람들이나, 기흉이 심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며, 증상은 호흡곤란, 겨드랑이 부근의 당김감, 기침, 입술이나 손, 피부의 청색을 띤 상태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기흉 치료 방법
작은 기흉은 산소 투여 후 자연 치료를 기다리는 방법을 사용하며, 크고 심한 기흉의 경우에는 흉강 천자나 흉관 삽입을 통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공기 유출이 계속되는 경우 화학적 흉막 유착 술이 시행됩니다. 만약 기흉이 재발하거나, 급성 기흉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게 됩니다.
경과 및 합병증
안정된 상태에서 산소 투여 후 자연 흡수를 기다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큰 기흉의 경우에는 흉관 삽입을 하고, 공기 유출 여부에 따라 수술이 이루어집니다. 만약 합병증이 없는 일차성 자연 기흉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존 전 치료나 흉관 삽입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생활 가이드
기흉 치료 후에는 고도의 압력 변화를 경험하는 활동, 예를 들어 비행기 탑승이나 스쿠버 다이빙을 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흡연은 기흉의 재발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흡연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또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각종 시술 전에 의사의 지시를 철저히 따라야 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